오픈 소스 운영체제로, 다양한 배포판(예: Ubuntu, Fedora, Debian 등)이 있습니다. 서버, 데스크탑, 임베디드 시스템 등에서 폭넓게 사용되며, 커스터마이징과 보안 측면에서 강력합니다.
Linux의 기본 폴더 구조
Linux는 전통적인 Unix 계열 운영체제로, 계층적 파일 시스템 구조를 따릅니다. 주요 폴더와 그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/ (루트 디렉터리)
-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의 최상위 계층입니다. 모든 경로는 루트 디렉터리에서 시작합니다.
- /bin
- 시스템 부팅과 사용자 작업에 필수적인 기본 명령어(예:
ls
, cp
, mv
, bash
등)가 포함되어 있습니다.
- 루트 사용자와 일반 사용자 모두 접근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습니다.
- /sbin
- 시스템 관리자(슈퍼유저)가 주로 사용하는 관리용 명령어(예:
ifconfig
, fsck
, shutdown
등)가 포함됩니다.
- 이 폴더의 명령어들은 시스템 복구 및 유지보수에 사용됩니다.
- /etc
- 시스템 전반의 설정 파일과 구성 파일들이 위치합니다.
- 네트워크 설정, 사용자 계정, 서비스 데몬 설정 등이 여기에 저장되며,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파일들이 많습니다.
- /usr
- 사용자 프로그램과 라이브러리, 헤더 파일, 문서 등이 포함된 폴더입니다.
/usr/bin
과 /usr/sbin
은 추가적인 사용자 및 관리자 명령어들이 모여 있으며, /usr/lib
는 공용 라이브러리를, /usr/share
는 공용 데이터 파일(매뉴얼, 아이콘 등)을 저장합니다.
- 이 폴더는 보통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되어, 시스템 업데이트나 재설치 시 안정성을 보장합니다.
- /var
- 시스템 실행 중 동적으로 변경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입니다.
- 로그 파일, 메일, 스풀, 캐시, 임시 파일 등이 여기에 위치하며, 시스템 운영에 따라 크기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.
- /home
- 각 사용자별 홈 디렉터리가 위치하는 곳입니다.
- 각 사용자는 자신의 개인 파일, 설정, 문서 등을 이 디렉터리 내에 저장합니다.
- 예:
/home/username
- /tmp
- 임시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터리로, 부팅 시 자동으로 비워지거나 주기적으로 클린업됩니다.
Linux 특징:
- 권한 및 소유권: 모든 파일과 디렉터리는 소유자, 그룹, 권한(읽기, 쓰기, 실행)을 가지고 있으며, 이를 통해 보안과 접근 제어가 엄격하게 관리됩니다.
- 모듈식 구성: 대부분의 시스템 도구와 라이브러리, 설정 파일은 모듈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쉽게 교체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.
- 텍스트 기반 설정: 많은 구성 파일이 텍스트 파일(일반적으로 간단한 형식이나 INI, YAML, JSON 등)로 되어 있어 커스터마이징과 스크립트 자동화가 용이합니다.
결론
- Linux:
- Unix 계열의 전통적인 계층적 폴더 구조를 따르며,
/bin
, /etc
, /usr
, /var
, /home
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
- 강력한 권한 관리와 텍스트 기반 설정 파일, 그리고 모듈식 설계가 특징입니다.